이 칼럼은 [2013.9.18 국제신문] 기고칼럼 입니다.
" 배려의 미덕 "
물질적인 풍요, 행복의 척도 아냐…더불어 살아갈 때 이상사회 가까워져
- 박수관 와이씨텍·'맑고 향기롭게'회장 -
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사람들로부터 가르침을 받는다. 나에게도 삶의 지혜를 일깨워 주신 분들이 많이 계시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큰 가르침을 주신 분은 3년 전 열반하신 법정 스님이시다. 법정 스님과의 25년이 넘는 인연을 통해 나는 많은 가르침을 받았다. 그중에서도 내가 가슴 깊이 새겨 두고 늘 실천하고 노력하는 것은 바로 배려의 삶이다. 법정스님께서는 "가진 것이 많든 적든 덕을 닦으면서 사는 사람이 진정한 부자이다. 덕이란 남에 대한 배려이다. 우리에게 주어진 물질은 근본적으로 내 소유가 아니다. 단지 어떤 인연에 의해서 우주의 선물이 내게 잠시 맡겨졌을 뿐이다"는 말씀을 통해 배려의 가치를 일깨워 주셨다.
예로부터 우리 민족은 나보다는 남을 먼저 생각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살아왔다. 이 때문에 동방예의지국이라는 자랑스러운 나라로 세계인들로부터 부러움을 샀다. 그러나 산업화에 따른 물질문명의 지배와 점점 확산되고 있는 무한 경쟁의 시대가 되면서 배려와 양보의 미덕이 사라지고 있다. 이는 한 사회의 배려 수준의 주요 지표인 기초질서 수준과 나눔 수준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기초질서는 한 나라의 선진화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척도이다. 이는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지켜야 할 최소한의 규칙이다. 사회 곳곳에서는 시민으로서 당연히 지켜야 할 기본 덕목인 기초질서를 지키지 않는 일이 일상화되고 있다. 공공장소와 길거리에 난무한 쓰레기, 무단횡단, 신호위반, 불법주차, 고성방가 등은 우리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무질서의 단면들이다.
우리나라 GDP는 1조1600억 달러로 세계 10위권이다. 경제적으로는 이미 선진국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법치 수준은 OECD 국가 중 하위권인 25위로 국가 위상과 너무도 큰 괴리가 있다. 이는 우리 국민의 기초질서 준수 수준이 후진국 수준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기초 질서가 무너지게 된 것은 무엇보다 이웃과 사회를 위한 양보와 배려의 마음이 부족한 것이 주요 원인이다. 남보다 먼저, 편하게, 더 많이 가지려는 이기적 욕심이 낳은 결과이다. 그러나 기초 질서가 확립되어야 진정한 선진국으로 진입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배려심의 부족은 공동체 의식을 약화시켜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주위의 어려운 이웃을 생각하지 않고 자기만 넘치도록 살아가면 된다는 식의 삶은 사회 계층의 위화감 조성과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미덕을 극도로 훼손시켜 우리 사회가 추구하는 것이 아님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지금은 경제적으로 매우 어렵고, 정신적으로 사회가 혼란스러울 때 어렵고 힘들게 살아가는 이웃을 생각하며 그들에게 힘과 용기가 되어줄 삶의 지혜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실은 정반대이다. 미국인들의 98%가 기부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반해 우리의 경우는 60% 미만으로 낮다.
이와 같이 우리 사회에 나눔이 인색한 것은 물질적인 풍요가 행복을 가져다줄 것이라는 착각에서 비롯된 것이다. 법정 스님께서는 "행복의 척도는 필요한 것을 얼마나 많이 갖고 있는가에 있지 않다. 불필요한 것으로부터 얼마나 벗어나 있는가에 있다. 지나친 소유는 어리석은 집착에 불과하며, 분수에 넘치는 것을 바라지 않고 비워냄이야말로 행복에 이르는 길"이라고 일깨워 주셨다. 기쁨은 나누면 배가 되고 슬픔은 나누면 반이 된다고 했다. 가진 사람들은 삶의 무게로 힘겨워하는 이웃들을 위해 나누고 양보하는 삶을 살아가려고 노력해야 한다. 배려는 상대방에 대한 입장과 상대방에 대한 믿음을 기초로 한다. 자신의 입장이 아닌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이 배려의 기초이다. 지나치게 욕심내지 않고, 가졌으나 가졌다고 뽐내지 않고, 잘났으나 지나치게 자신을 드러내지 않은 것이야말로 이 시대에 필요한 진정한 배려의 모습이다.
나 혼자만을 생각하지 말고 한 사람 한 사람이 남을 배려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자세로 살게 되면 이것이 주변으로 확산되어 온 세상이 배려로 충만해지게 될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우리가 진정으로 바라는 꿈의 이상사회가 만들어지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