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부파일 |
---|
[국제신문 2016.2.22]
|
|
글로벌 메이커 나이키의 상징인 '에어맥스'는 중창 안에 숨겨진 에어백을 눈에 보이도록 디자인해 일대 혁신을 이뤘다. 이 에어백으로 15년 이상 정상의 자리를 지킨 나이키는 이를 대체할 새로운 소재를 찾아 나섰다. 나이키 신발의 아웃솔(밑창의 바깥 부분)과 미드솔(밑창의 중간 부분) 파트의 신소재 개발에 전 세계 9개 회사가 경쟁했고, 연구 역량이 가장 뛰어난 기업 한 곳이 최종 선정됐다. 바로 부산의 신발 부품 전문업체 ㈜YC TECH(이하 와이씨텍)이다.
와이씨텍은 1987년 창립돼 나이키, 컨버스, 뉴발란스 등 세계 메이저 회사에 30여 년간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와이씨텍은 최근 경남 김해 본사는 물론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등 해외공장을 모두 증설했다. 주 거래사인 나이키가 지난해 연말부터 월 생산량이 배 이상 증가하는 등 급팽창한 데 따른 것이다.
와이씨텍 박수관 회장은 "나이키가 2018년까지 월 1억 켤레를 생산하겠다는 획기적인 방침을 발표하면서 우리도 주문량을 소화하기 위해 증설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증설 규모는 기존 시설의 50%에 해당하며, 이달 중 모두 마무리될 예정이다.
나이키의 성장으로 와이씨텍도 지난해 실적이 전년과 비교해 30%가량 크게 상승했다. 특히 올해 6월 출시되는 나이키의 러닝화 개발에도 참여하면서 추가 실적 상승이 전망되고 있다. 박 회장은 "전문화와 달리 러닝화는 보편화한 만큼 주문 규모가 크다. 이에 따라 올해도 생산량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와이씨텍은 신발의 기능성이 점차 강조되는 추세에 따라 신소재 개발에 역점을 둬 왔다. 특히 최근에는 신발의 착용감, 쿠셔닝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신발의 밑창에 과학적 이론을 접목한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러닝, 워킹, 축구, 농구, 골프 등 착용 목적에 따라 적합한 밑창 소재가 중요해진 것이다. 박 회장은 "신발 패턴이나 디자인은 유행이 언제든 변할 수 있다. 하지만 소재는 기능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분야로 기본 연구 역량을 갖추면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고 설명했다.
와이씨텍이 나이키의 협력업체가 된 후 2004년 첫 출시된 '나이키 프리 시리즈'는 와이씨텍이 4년간 연구개발에 공을 들여 선보인 제품이다. 발 보호는 물론, 마치 맨발인 듯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제공하는 갑피 기술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프리에 이어 '루나 시리즈'까지 연이어 히트를 기록하면서 나이키의 입지도 더욱 공고해졌다. 박 회장은 "우리가 개발한 소재로 브랜드가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는 데 자부심이 있다"며 "앞으로도 더욱 가볍고 고탄성이며, 인체의 피로도를 줄여주는 제품이 각광받을 것이다. 협력 브랜드가 추구하는 방향에 맞춘 소재 개발에 역점을 둘 것"이라고 말했다.
박 회장과 연관된 키워드 중 하나는 '기부천사'다. 왕성한 기업 활동으로 벌어들인 수익을 지역사회를 위해 환원하는 데 기여해왔기 때문이다. 그는 (사)맑고향기롭게 부산모임의 회장을 맡고 있다. 맑고향기롭게는 무소유 사상을 설파한 법정 스님이 삭막한 현실에 푸근하고 향기로운 마음의 연꽃을 피우자는 뜻으로 시작한 순수한 시민운동 모임이다. 용두산 공원 무료 급식, 요양원 목욕 봉사 등을 꾸준히 펼치고 있다. 박 회장은 "중병으로 치료비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을 돕는 데도 관심을 갖고 기부 활동을 펼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 회장은 기업은 물론 지역사회 전반에 기부 문화가 확산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가끔씩 시내에 나가 산책을 하는데 파지를 줍는 노인들을 본다. 하루에 리어카를 꽉 채우면 8000~1만 원을 번다고 한다. 아직도 주변에는 소외된 이웃이 많다. 단지 '보여주기식'의 일회성 사회공헌에 그칠 것이 아니라 '기부 DNA'를 바탕으로 부를 가치 있게 사용하는 이가 많아졌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황윤정 기자 hwangyj@kookje.co.kr
▶기사바로가기 :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2100&key=20160222.22026193904
* 이 게시물은 사용불가능한 태그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내용이 정상 출력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